kimbin
article thumbnail
반응형

'5천만원 목돈 마련' 2023 청년 도약계좌 신청 날이 다가오고 있다. 신청 날은 6월 15일부터 은행별로 신청받는다고 한다. 5천만원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및 직장에서 퇴사한 무직인 사람도 가입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청년도약계좌란?

2023년 6월 15일부터 진행되는 정부에서 진행하는 청년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제도이다. 만 19~34세 청년들이 월 70만원씩 5년간 납입하면 만기 시 5,000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다고 한다. 월 납입금의 최대 6%를 정부가 보조한다.

 

청년도약계좌 조건은?

정부에서 제시한 청년도약계좌 조건은 만 19세에서 만34세까지 가능하고, 군대를 다녀온 사람은 그 기간만큼 적용된다고 한다. 예를 들어, 2년간 군 복무를 하였다면 만 36세까지 신청이 가능한 것이다. 부사관 입대는 3년간 군 복무 기간을 추가하여 만 37세도 가입이 가능하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은?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에는 비대면으로는 금융기관 모바일 앱을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앱 설치 후, 버튼을 클릭하면 간단한 신청서 작성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대면으로는 관련 은행에 방문하여 편리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소식이 궁금하다면?

청년도약계좌와 관련된 구체적인 사업 공고가 곧 발표될 예정이다. 관련 내용은 카카오톡으로 받아볼 수 있다. 아래에 카톡 알림 신청 및 채널 추가를 하면 최신 뉴스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및 관련 내용 알림 신청 바로가기

예시를 통해 5천만원 목돈을 마련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쉽게 알아보자

연 소득 2400만원인 청년이 청년도약계좌에 매월 70만원씩 5년간 적금했다고 가정하면, 정부 보조금과 비과세 혜택을 포함해 최고 금리 (연 6.5%)를 적용받아 5037만 8750원 (4893만8750원+기여금 144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

중간에 연봉이 올라가면 어떻게 되나요?

예를 들어, 가입 당시 연 소득 2400만원 이하로 가입하고 다음 해에 연봉이 올라 3600만원 이하가 된다면 1년마다 확인하여 해당 소득범위의 정부 기여금이 변동 지급된다. 단, 가구 소득의 경우에는 가입 시에만 충족하면 변동사항이 없다고 한다.

그렇다면, 청년도약계좌 무직도 가입이 가능할까?

아쉽게도 청년도약계좌는 무직, 직장이 없는 경우는 가입이 불가능하다고 한다. 하지만 아래 조건이 충족된다면 무직자도 청년도약계좌에 가입이 가능하다고 한다.

1) 현재 무직이지만 작년 소득증명이 가능하다면 가입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2022년에 첫 소득이 발생했다면, 올해 7월쯤 소득 확정이 되게 되는데 소득 확정이 된 이후에 신청이 가능하다.

2) 종합소득, 사업소득이 있으면 가입이 가능하다.

3) 무직이더라도 알바하고 있고 고용 보험에 가입이 되어 있는 경우에도 소득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이전에 작성한 글을 통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2023.06.11 - [경제] - 청년도약계좌란? 쉽게 알아보기!

 

반응형
profile

kimbin

@kimbin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